본문 바로가기
경제 금융 교육(초등)/드림즈프로젝트(경제+진로)

경제교육과 진로교육을 함께?!(드림즈 프로젝트 2차시)

by 김선비 선생님 2023. 11. 18.

  우리는 살아가면서 크고 작은 선택을 마주하고 그 결과들이 모여 현재와 미래의 삶이 변화되어 갑니다. 특히 진로  경제·금융과 관련된 선택은 개인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고 두 분야는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. 교실에서 다양한 경험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흥미와 적성을 탐색하고 경제 금융 지식을 갖출 수 있도록 프로젝트를 구성하였습니다.

 

수업자료 및 활동지는 맨 아래 첨부되어있습니다.

↓ ↓ ↓


 

소요 차시: 1차시

※ 학습주제 : 행복한 삶을 위한 계획 세우기

  • 활동1: 행복한 미래를 위해 무엇이 필요할까?
  • 활동2: 행복한 미래를 위한 목표 금액 계산해보기

0. 동기유발

- 교사: 아래 영상은 부자였다가 가난하게 된 두 노인이 진정으로 행복을 느끼는 순간이 언제였는지 설명합니다. 영상을 보고 난 후 학생들에게 '진정한 행복'이란 어떤 것일까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질문합니다. 

- 학생: 영상을 보고 저희 반 학생들은 돈 뿐만아니라 인간 관계, 건강 등 다양한 가치들이 충족되어야 행복할 수 있다고 답하였습니다.(물론 여전히 돈이 최고다는 학생들도 있었습니다 ㅎ) 


1. 활동1. 행복한 미래를 위해 무엇이 필요할까?

- 교사: 다음으로 학생들이 생각한 행복한 삶을 위해 필요한 것들을 구체적으로 생각해보는 활동을 가졌습니다. 물질적인 것(눈에 보이는 것), 눈에 보이지 않는 것(가치), 해야하는 것 총 3가지로 나누어서 적어보도록 하였습니다.

-학생: 눈에 보이는 것 -> 돈, 친구, 핸드폰, 집, 컴퓨터 등/ 눈에 보이지 않는 것 -> 우정, 건강, 사랑, 등/해야하는 것 -> 친구 많이 사귀기, 공부, 열심히 일하기, 컴퓨터 게임 열심히하기(?) 등 

 

2. 활동2. 행복한 미래를 위한 목표 금액 계산해보기

- 교사:성인이 된 미래 모습을 상상한 후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금액이 얼마인지 계산을 해 보는 활동을 진행하였습니다. 위 활동의 목적은 행복한 삶을 위해서 기본적인 소득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일과 직업의 중요성을 느낄 수 있도록 이어주는 것입니다.아무래도 학생들은 성인이 되어 어떤 항목에서 소비가 이루어지는지 생각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미리 선생님께서 항목을 구체적으로 정해주는 것이 좋습니다. 저는 다양한 지출 중 1~5번 항목까지 선택할 수 있도록 정해주었고 더 필요하다면 6번 추가 항목에 적을 수 있도록 활동지를 구성하였습니다. 

- 학생: 생각보다 flex하는 학생들 보다는 검소하게 최저 항목들을 체크한 학생들이 많았습니다. 심지어 '저는 외식 안할껀데 어떡해요?'라고 물어보는 학생들도 있었습니다. (벌써부터 검소한 생활을,,!)

 

3. 활동3. 행복한 미래를 위한 생애주기 계획하기

- 교사: 활동1에서 생각한 물질적인 것(눈에 보이는 것), 눈에 보이지 않는 것(가치), 해야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생애주기에 맞춰 계획해보는 활동을 진행하였습니다. 활동2에서 학생들이 소득의 중요성을 깨닫고 조금 더 진지하고 구체적으로 어떤 것들을 해야하는지 조사하였습니다. 특히, 고등학교, 대학교 전공 등에 대해서 인터넷을 통해 찾을 수 있도록 시간을 넉넉히 주었습니다.

- 학생: 10대에는 열심히 공부하기, 20대에는 대학 및 직업 갖기, 30~50대에는 직업, 주식 등 부모님을 떠올려 많이 적었습니다. 

 

4. 정리

- 교사: 행복한 미래를 위해서 필요한 것과 해야하는 것들은 무엇이 있었나요?,  앞으로 그것들을 위해 생애주기 별 어떤 노력을 해야하나요? 등의 질문을 통해 활동 내용을 정리합니다. 

 


드림즈 프로젝트(2차시).pptx
2.24MB
활동지(2차시).hwp
0.06MB

댓글